자르기
- 공백 포함해서 index를 센다.
left (문자열, count)
- 1~count
right (문자열, count)
- (end_index - count) ~ end_index
mid (문자열, index)
- index~end_index
mid (문자열, index, count)
- index ~ count
substring(문자열, index)
- index~end_index
substring (문자열, index, count)
- index ~ count
길이 length
length(문자열)
- byte로 계산, 한글은 3byte
char_length(문자열)
- 글자 수(공백 포함)
검색
instr(문자열, 문자)
- 글자 찾음, 대소문자 구분 X, 없으면 return = 0
posittion(문자 in 문자열)
- 글자 찾음, 대소문자 구분 X, 없으면 return = 0
변환
ascii(문자)
- 아스키 코드 return = int
ascii(’A’);
upper(문자열)
- 대문자로 변환
lower(문자열)
- 소문자로 변환
replace(문자열, 문자a, 문자b)
- 문자열에 있는 모든 a를 b로 변환
reverse(문자열)
- 거꾸로 출력
추가 및 삭제
repeat(문자열, 횟수)
- 횟수만큼 문자열 추가
insert(문자열, start_index, end_index, 바꿀문자열)
- start_index ~ end_index를 바꿀 문자열로 변환
ltrim(문자열)
- 왼쪽 공백 삭제
rtrim(문자열)
- 오른쪽 공백 삭제
trim(문자열)
- 양쪽 공백 삭제
lpad(문자열,크기,추가문자열)
- 크기에 맞게 왼쪽에 추가문자열을 추가
rpad(문자열, 횟수,추가문자열)
- 크기에 맞게 오른쪽에 추가문자열을 추가
날짜 date
sysdate()
- 현재 시각 보여줌
now()
- 현재 시각 보여줌
curdate()
- 현재 연월일 출력
curtime()
- 현재 시분초 출력
last_day(’연-월-일’ or sysdate())
- 해당 달의 마지막 일의 연월일 출력
datediff(연월일a, 연월일b)
- a-b를 일 수로 계산하여 return
adddate(연월일, interval 숫자 day)
- 연월일에 day를 숫자만큼 더함
- day, week, month, year 가능
date_add(연월일, interval 숫자 day)
- adddate와 동일
addtime(연월일시간, ‘시:분:초’ )
- 연월일시간에 ‘시분초'만큼 추가
subdate(연월일, interval 숫자 day)
- 연월일에 day를 숫자만큼 뺌
date_sub(연월일, interval 숫자 day)
- 연월일에 day를 숫자만큼 뺌
subtime(연월일시간, ‘시:분:초)
- 연월일시간에 ‘시분초'만큼 뺌
날짜 - date_format(연월일, ‘%출력’)
- 연월일을 기준으로 ‘%출력'을 출력
- %Y - 연도 , 2022
- %y - 연도 , 22
- %M - 달 영어 , March
- %b - 달 영어 축약 , Mar
- %m - 달 두 자리 , 03
- %c - 달 , 3
- %D - 일 th , 30th
- %d - 일 두 자리 , 04
- %e - 일, 4
- %W - 요일 영어, Wednesday
- %a - 요일 영어 축약, Wed
- %w - 요일 숫자, 0일요일~6토요일
시간 - date_format(연월일, ‘%출력’)
- 연월일을 기준으로 ‘%출력'을 출력
- ‘%p’ - AMPM, AM
- ‘%H’ - 시 두 자리, 15
- ‘%h’ - 시 한 자리, 03 (0은 나옴)
- ‘%i’ - 분 , 45
- ‘%s’ - 초, 23
- ‘%U’ - 올해 몇 번째 주 , 13
- ‘%j’ - 올해 몇 번째 일, 084
- ‘%r’ - 시간AMPM , 10:12:49 AM
- ‘%T’ - 시간 , 10:12:49
메소드(’연월일시간’)
- year(sysdate()) - 2022
- month(sysdate()) - 3
- monthname(sysdate()) - March
- dayofmonth(sysdate()) - 30
- dayname(sysdate()) - wednesday
- weekday(sysdate()) - 2
- hour(sysdate()) - 10
- minute(sysdate()) - 56
- second(sysdate()) - 23
unix_timestamp()
- 한국 기준 시간 '1970-01-01 09:00:00'에서 초를 계산으로 return , 1648605612
- ()에 ‘연월일시간'입력하면 그것을 기준으로 return
from_unixtime(초)
- '1970-01-01 09:00:00'을 기준으로 초를 더한 날짜 출력
to_days(’연월일’)
- 일 자로 계산하여 return
from_days(일)
- 일 만큼 계산한 ‘연월일’ 출력
time_to_sec(’시분초’)
- 시간을 초로 계산하여 출력
sec_to_time(초)
- 초를 시간으로 계산하여 출력
period_add(yyyymm, 숫자)
- 숫자만큼 yyymm의 달을 차감
period_diff(yyyymm, yyyymm)
- 앞뒤의 yyyymm의 달을 계산 값 return
'DB > Maria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ariaDB] 10.논리 함수 (0) | 2022.12.20 |
---|---|
[MariaDB] 9. 수학 함수 (0) | 2022.12.20 |
[MariaDB] 7. 연산자 및 기본 함수 (0) | 2022.12.20 |
[MariaDB] 6. data 추가, 삭제, 수정 (0) | 2022.12.20 |
[MariaDB] 5. column 추가, 삭제, 변경 (0) | 2022.12.20 |
댓글